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C++
- TensorFlow
- 딥러닝
- Windows10
- 백준알고리즘
- 턱걸이
- CV
- 공부
- 프로그래밍
- error
- 운영체제
- 시스템프로그래밍
- shell
- 리눅스
- 백준
- 회귀
- C언어
- 쉘
- Windows 10
- 학습
- OpenCV
- 영상처리
- 알고리즘
- 코딩
- c
- linux
- Computer Vision
- python
- 텐서플로우
- 프로세스
- Today
- Total
줘이리의 인생적기
리다이렉션(redirection), 파이프(pipe) 본문
command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는 세가지 스트림을 가지고 있다.
- 표준 입력 스트림(Standard Input Stream) - stdin
- 표준 출력 스트림(Standard output Stream) - stdout
- 오류 출력 스트림(Standard error Stream) - stderr
모든 스트림은 일반적인 text로 console에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.
리다이렉션(redirection)은 표준 스트림의 흐름을 바꿔주는 기법이다.
주로 명령어 표준 출력을 화면이 아닌 파일에 쓸 때 사용한다.
예) ls > files.txt : ls로 출력되는 stdout의 방향을 files.txt로 바꿔줌.
head < files.txt : files.txt의 파일 내용의 10줄이 화면에 출력됨.
head < files.txt > files2.txt : files.txt 파일 내용의 10라인이 files2.txt에 저장됨.
ls >> files.txt : 기존 files.txt내용 뒤에 ls 출력 내용이 이어서 저장됨.
파이프(pipe)는 두 프로세스 사이에서 한 프로레스의 출력 스트림을 또 다른 프로세스의 입력 스트림으로 사용할 때 사용된다.
예) ls | grep files.txt : ls 명령으로 출력되는 디렉토리와 파일들 중 files.txt가 있는지 출력해줌.
grep 명령어 참고 사이트
https://recipes4dev.tistory.com/157
리눅스 grep 명령어 사용법. (Linux grep command) - 리눅스 문자열 검색
1. grep 명령어. grep은 입력으로 전달된 파일의 내용에서 특정 문자열을 찾고자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. 리눅스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명령어 중 하나이죠. 하지만 grep 명령어가 문자열을
recipes4dev.tistory.com
'공부 > 시스템 프로그래밍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하드링크, 소프트링크, 특수 파일 (0) | 2021.12.13 |
---|---|
foreground process, background process (0) | 2021.12.10 |
파일 및 권한 관리 (0) | 2021.12.06 |
다중 사용자 관련 명령어 (0) | 2021.12.03 |
쉘 (0) | 2021.12.01 |